분류 전체보기(17)
-
나무 그림으로 보는 심리 진단법 HTP (질문)
나무 그림으로 보는 심리 진단법 질문하는 법 아래에서부터 위로 자라 있는 나무의 의미는 보편적으로 자기 확장 또는 자신의 모습과 처지, 마음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런 것들을 알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질문을 통해 그림이 담고 있는 숨겨진 의미까지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낙엽이 떨어지는 나무를 그렸다면 어떤 계절이냐고 묻습니다. 가을이나 겨울을 말했다면 우울증에 가깝지만 검사자가 봄이라고 대답했을 경우 슬픔은 있지만 희망을 생각하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이나무는 어떤 종류의 나무입니까? 이 나무는 어디에 있는 나무입니까? 한 그루만 있나요? 숲 속에 있나요? 이 나무는 몇 년쯤 된나요? 이 나무는 살아 있나요? 말라죽었다면 언제쯤 어떻게 말라죽었나요? 이 나무는 강한가요? 약한가요? 해가 떠 있..
2022.01.20 -
집 그림으로 보는 심리 진단법 HTP
집 그림으로 알아보는 심리 진단법 집 그림은 성장해온 가정의 상황을 나타냅니다. 가족의 생활, 가족에 대한 마음 상태와 태도를 보는가를 알 수 있습니다. 현재의 가정을 바라보는 시점과 과거와 미래의 이상적인 가정상의 소망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전체적인 집 그림을 평가해야 하며 필수적으로 지붕, 벽, 창문, 출입문을 어떻게 그렸어 있는지 봅니다. 집을 그릴 때 보통은 단독 주택을 그리며 간혹 아파트처럼 특수한 형태의 집을 그린 경우 질문을 통해 이유를 묻습니다. 일반적인 그림이 아닐 경우 가정의 불만과 갈등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는 그린 사람의 특별한 관심이나 자신을 나타내는 그림일 수도 있습니다. 지붕 지붕은 공상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큰 지붕은 공상을 잘하며 대인 관계로부터 도피하려는 경향을 나타..
2022.01.19 -
나무 그림으로 보는 심리 진단법 HTP
나무 그림으로 보는 심리 진단법 나무 그림은 자기 자신을 의미하며 성장 한려는 마음을 반영합니다. 마음 상태와 무의식에 있는 정신의 성숙도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나무 그림은 부분적인 것보다 먼저 전체적으로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무 상록수 그림은 목표 의식이 높고 자기를 통제력이 있고 활력적인 사람이나 그와 같은 것을 소망함을 뜻하기도 합니다. 낙엽수 그림은 자신이 외부로부터 관섭받는 다고 느끼며 내향적이고 자기주장이 적은 편입니다. 고목은 열등감, 무력감, 우울감 나타냅니다. 고목이 완전히 말라죽었다는 하는 것은 마음 상태가 많이 힘들고 부정적이라는 걸 뜻합니다. 벼락을 맞거거나 벌레, 바람, 폭풍 등 그려진 나무는 주변 환경으로 자신이 힘들어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또는 심리적 외상이 있거나 남의 ..
2022.01.14 -
인물화 그림으로 보는 심리 HTP (질문)
그림으로 보는 심리 HTP검사 후 질문해야 하는 것들 HTP(집, 나무, 사람)에서 그림을 그리고 난 후 질문은 아주 중요합니다. 그림의 의미와 문제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물어보지 않고 의미를 파악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그림의 해석의 단서를 얻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질문에 대한 답을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통은 질문에 일정한 형식은 없으며 질문에 대한 대답을 듣고 그 이유를 꼭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검은색으로 엄마를 그린 아동에게 왜 엄마를 검은색으로 칠했냐고 묻고 그 이유에 대해서도 듣는 것이 좋습니다. 심리적으로 엄마에 대한 문제로 검은색으로 칠했을 경우도 있지만 단순히 엄마가 검은색 옷을 자주 입어서 그렇게 표현했을 경우도 있습니다. 단정 짓고 해석하기보다 질문을 통..
2022.01.13 -
의복 그림으로 보는 미술 심리 HTP 사람
그림으로 보는 미술 심리 HTP (의복) 의복은 사회적인 역할과 성격을 알아볼 수 있는 단서가 되기도 합니다. 나체상은 사회규범에 대한 반항심을 나타내며 사회적 자기애형과 신체적 자기애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자기애형은 의복을 그릴 때 화려하고 몸치장을 자세하게 그리는 경향이 있으며 신체적 자기애형은 의복은 조금 그리고 근육이 발달한 인물을 그리는 특징을 보입니다. 아래의 의복의 특징을 그렸다고 해서 꼭 그런 것은 아니며 치료가 필요한 사람들의 심리를 말로 표현하고 치료하는 것보다 무의식에서 그림으로 표현되는 심리를 해석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습니다. HTP 심리진단법을 기본 바탕으로 정리했으며 충분한 대화와 상담으로 보다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음을 알려드리며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모자 모자를 ..
2022.01.12 -
그림으로 보는 심리 HTP 인물화
그림으로 보는 심리 HTP 사람 (몸) 인물화는 그리는 사람이 자기에게 의미 있는 사람이나 현실상 또는 이상상을 나타내며 사람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심리적인 것과 신체적인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인 예로는 인물화를 그릴 때 작게 그리고 나약하게 표현한 경우 자신을 작고 무의미하게 느끼며 의존적인 성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내성적인고 병약한 사람들은 건강한 인물화를 그림으로써 이상상을 표현합니다. 인물화는 그리는 사람의 공포와 불안 강박감 성적 역할 등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모두 다 확신하기보다는 충분한 상담과 면담을 통해 유추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HTP에서 몸을 그릴 때 보이는 심리 진단법을 바탕으로 포스팅합니다. 팔 몸과 적당히 떨어진 자연스러운 팔 ..
2022.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