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그림으로 보는 심리 진단법 HTP

2022. 1. 19. 00:02카테고리 없음

집 그림으로 알아보는 심리 진단법


집 그림은 성장해온 가정의 상황을 나타냅니다. 가족의 생활, 가족에 대한 마음 상태와 태도를 보는가를 알 수 있습니다. 현재의 가정을 바라보는 시점과 과거와 미래의 이상적인 가정상의 소망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전체적인 집 그림을 평가해야 하며 필수적으로 지붕, 벽, 창문, 출입문을 어떻게 그렸어 있는지 봅니다.

집을 그릴 때 보통은 단독 주택을 그리며 간혹 아파트처럼 특수한  형태의 집을 그린 경우 질문을 통해 이유를 묻습니다. 일반적인 그림이 아닐 경우 가정의 불만과 갈등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는 그린 사람의 특별한 관심이나 자신을 나타내는 그림일 수도 있습니다. 

 

지붕

  • 지붕은 공상의 정도를 나타냅니다. 큰 지붕은 공상을 잘하며 대인 관계로부터 도피하려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 지붕과 벽이 딱 맞닿아 있거나 지붕이 없는 경우 공상력이 없고 구체적인 것을 추구합니다.
  • 강하고 진하게 그려진 지붕은 자기를 방어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그물무늬의 음영 있는 지붕은 강한 의식으로 인한 죄의식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 지붕이 무너지고 허물어 저가는 그림은 자신이 압도되는 감정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 기와를 그려 세밀하게 그려진 지붕은 집착적인 사람에게 자주 그려집니다.
  • 담이 있고 지붕만 보이는 그림은 자아의 붕괴로 현실과의 거리를 두는 것을 나타냅니다. 

 

  • 벽의 선은 자아의 강함과 약함을 나타냅니다.
  • 벽이 무너진 상태는 자아도 붕괴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경계선이 강한 그림은 자아를 통제하려는 무의식을 나타냅니다.
  • 약하고 힘이 없는 벽은 자아의 통제가 약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병약한 상태의 사람에게서도 보이는 그림입니다.
  • 얇은 벽은 약한 자아로 상처 입기 쉬우며 성향을 나타냅니다.
  • 투시화로 그려진 집은 구조화하려는 강박증에서 그려지는 경우입니다.
  • 벽에서 수직선이 강조되어 있는 집의 그림은 공상가가 많습니다.
  • 벽에서 수평선이 강조되어 있는 집은 실용주의가 입니다. 

 

  • 문은 대인 관계에 대한 태도를 나타냅니다.
  • 문이 전혀 없는 집은 타인과의 교류를 원치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 작은 문은 무력감과 우유부단함 또는 수줍음을 나타냅니다.
  • 집의 가장자리에 그려진 손잡이가 없는 문은 도피적이고 경계성을 나타냅니다.
  • 문에 잠금장치는 의심이 많고 방어적인 성격입니다.
  • 손잡이가 유난히 강조되는 경우는 남근의 관심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지나치게 큰 문은 타인에게 의존하려는 것을 나타냅니다.
  • 열려있는 문은 정서적으로 따뜻함을 느끼고자 하는 마음을 나타냅니다.
  • 문이 가려져 있거나 뒷문으로 나있는 문은 수동성, 도피적 성향으로 봅니다.
  • 문을 나중에 자세하게 그리는 경우 소극적 수줍음을 나타냅니다.

 

  • 방은 그 방에 살고 있는 사람과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 침실을 강조할 경우 조용하고 우울함을 나타내거나 성적 행위나 병자를 위한 장소로 보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 욕실은 가족으로부터의 긴장감으로 은신처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 부엌은 애정에 대한 욕구를 나타냅니다.
  • 거실은 사회화를 강조합니다.
  • 오락실은 놀이를 강조합니다.
  • 작업실은 일을 많이 하는 사람을 나타냅니다.
  • 지저분한 방은 가정의 불편한 마음을 나타냅니다.
  • 절단된 방은 그 방을 그리고 싶지 않은 마음을 나타냅니다.

 

창문

  • 창문은 외부와의 접촉을 나타냅니다.
  • 창문이 없는 것은 폐쇄적인 사고 편집증적 성향을 보입니다.
  • 격자 창문은 회의감을 나타냅니다.
  • 창문의 잠금장치는 위험한 환경으로부터 대처하려는 공포감을 나타냅니다.
  • 창문의 카튼은 폐쇄적 성향을 보이기도 하고 가정의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과 수줍음 일 수 있습니다.
  • 스테인드 글라스 창문은 죄의식이나 아름다움에 대한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굴뚝과 연기

  • 굴뚝은 따뜻함이나 남근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 굴뚝이 없는 집은 따뜻한 가정이라고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굴뚝의 뭉게뭉게 연기는 마음속 긴장감과 가정의 갈등을 나타냅니다.
  • 굴뚝의 옅은 선의 연기는 가정의 따뜻함이 없다고 느끼거나 정신적 성적 발달 단계에 이른 것을 나타냅니다.

 

울타리

  • 울타리는 자기 방어를 나타내거나 안전감을 방해받고 싶지 않은 심리로 봅니다.

 

여기까지 집 그림으로 보는 심리 진단법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