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1. 09:38ㆍ교육 정보
과학 문자 디자인
과학 상상화가 부담되는 친구들은 과학 문자 디자인을 선택합니다. 그런데 그런 이유로 선택하는 아이들이 많아서 상을 받기가 쉽지 않은 것이 단점으로 작용됩니다. 그래서 무엇보다 아이디어와 한글자 한글자 정성이 가득 담겨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글자의 주제를 확실하게 보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것 또 한 중요합니다.
1)주제 정하기

위 작품은 유전이라는 용어를 이용해 과학 문자 디자인하는 과정입니다. 참고서에 나와있는 참고그림에서 아이디어를 내고 성심성의껏 그려 좋은 성과를 얻어 아이 스스로 굉장히 만족했던 작품입니다.

위 작품은 호흡이라는 용어를 채색하고 있는 장면입니다. 문제집의 참고 그림을 보고 아이의 반짝이는 아이디어가 독보입니다. 처음엔 어렵게만 느껴졌던 용어 디자인이 교과서만으로 아이의 생각이 정리가 됩니다. 함께 교과서를 보는 것 만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됩니다.
2)모음과 자음에 맞게 그리기

위 작품은 탄성리라는 용어를 이용한 작품입니다. 용수철, 고무동력기, 태엽 장난감, 뛰어오르는 공 등 용어를 잘 설명하는 그림들 때문에 한 눈에도 과학적 원리를 잘 이해한 아이의 작품입니다.

위 작품은 역학이라는 용어를 이용한 문자 디자인 입니다. 역학을 표현하는 현상을 그림으로 그려 넣고 공식을 함께 사용하였기 때문에 역학이라는 용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3) 채색하기

위 작품은 갯벌과 증발이라는 용어를 통일성있게 표현한 작품입니다. 바탕을 함께 채색해서 하나의 이야기가 있는 작품으로 탄생되었습니다.
4) 작품 설명
작품이 끝났다면 작품의 의도와 설명을 적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용어 설명과 어떻게 그림과 용어를 연결했는지 정도가 들어가면 됩니다. 학교에 따라서는 설명을 쓰게 하는 곳도 있습니다. 설명을 따로 쓰는 곳이 없다면 포스트잇에 적어서 내도 좋습니다.
위 작품은 상호작용과 파동이라는 용어를 교과 과정과 한 글자씩 설명을 적어낸 작품입니다. 그림의 자세한 설명을 적어 넣는 과정에서 아이가 한번 더 용어를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여기까지 과학 문자 디자인의 과정을 설명해 드렸습니다. 단순히 작품을 모방하기보다는 아이 스스로 처음부터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완성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매년 있는 대회에서 아이 혼자서도 잘할 수 있도록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길 소망하며 포스팅을 마칩니다.
'교육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물화 그림으로 보는 심리 HTP (질문) (0) | 2022.01.13 |
---|---|
의복 그림으로 보는 미술 심리 HTP 사람 (0) | 2022.01.12 |